말그대로 호환성입니다. 익스플로어 아 누구나다 들어봣겟죠, 비운의 브라우져엿습니다. 속도도 병맛이엿는데 IE9 시즌 부터 좋아졋지만요.


그런데 윈8에서의 IE10은 다릅니다,아물론 데스크탑 IE10말이죠 모든사이트에맞게 셋팅되버리기 때문에, 어지간한 듣보잡 사이트가 아닌이상은 잘돌아갑니다. 액티브 도잘돼구요 ,빌어먹을 프로그램]






익스플로어의 시대에서 가장좋은작품 이라고말할수있슬정도네요 근데대부분은행사이트가 아직도 IE5 쿼크.. 너무합니다 이러니잘 안되죠 아무튼 이하 생략입니다!




도구-> 호환성보기 설정 -> 모든웹사이트표시 만체크해놓으시면 모든홈페이지 잘표시됍니다 ^^



Posted by 세이라s9
,

제목이참;;.그럼 파일시스템의 변화를 알아보록할게요.

파일시스템이란?


윈도우 OS에서나 맥OS, 리눅스 O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합니다. 우리가알고흔히 쓰는 시스템은 NTFS라는 파일시스템!




NTFS 로 윈도우 95부터 애용하던 시스템이기도합니다. 아물론 NTFS 로 모든걸말할수가 없습니다 NTFS도 1세대,2세대,3세대 이렇게나눠져요.. 그거는 나중에하도록합시다.


그리고 리눅스 OS에서는 ,맥OS로는 FAT32 와 FAT 파일시스템이 있습니다 USB에서도 FAT32가 기본모델 입니다 이것들에 장점은 바로 적은용량을쓰면서 쓰기와,읽기 그리고안정성이더해졋는데요. FAT32부터는 4GB 이상의 용량도 가능해졌습니다.


그에 비해 NTFS 파일시스템은 엄청난 시스템입니다 OS계열중 유일무이 윈도우 OS에서 쓰고잇지요, 그호환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윈 95때쓰던 하드를 윈8 에도쓸수잇고 윈7 에쓰던하드도 95에서 갔다박을수잇죠. 문제는 프로그램 의 호환성 문제로 구동이 안될뿐이죠, 그러나 파일시스템이 동일하기때문에가능합니다.


그리고 리눅스계열에서 쓰는 EXT 2 와 EXT 3 파일시스템도있는데요 저도 안사용해봐서 잘모르겟습니다 앞서서 말하지만 저의강의는 대부분 제경험을바탕으로합니다 즉 전문용어도 잘안쓰고... 제경험의바탕으로 풀이하기때문에... 이해하는데에 어려움이조금따를듯싶은데 


그럼다시 본론으로~ NTFS 와 FAT32 AND FAT 와, EXT2 OR EXT3 파일시스템은 모두 공통점이있습니다, 그건바로 하드라는 장치를 인식하게끔하는 시스템이란거죠. 포맷할쩍에도 NTFS 파일시스템으로 갈겁니까.  FAT 계열로 갈래 EXT계열로갈래 합니다 


아물론 EXT는 리눅스전용파일시스템이라서, 윈도우 계열 OS에서는 안나옵니다 소외됀 파일시스템이란거죠

펌해버렷습니다 앞으로의 용어정리는 사진으로처리 ,귀찮음 보통 FAT16을 FAT 으로 통합되어있습니다 나눌 필요성이 없서서말이죠.





이제 FAT 관련은끝낫습니다 NTFS 시스템을 알아보도록할께요.





NTFS 파일시스템의 유일한 단점은 역시나.. 다른운영체제 에서는 호환이 불능합니다..인식자체를 못함.ㅠ





그리고 리눅스 에서 쓰이는 파일시스템이죠. 이 세가지는 각각 개성이있습니다  바로 OS 를 가려요. 하지만 윈도우 OS는 FAT시스템과, NTFS를 혼용해서 쓸수있도록 설계되어있스며, 리눅스OS는 FAT와, EXT시스템을 각각 혼용을해서 쓸수있습니다..



그럼이제 마칠게요.^^



Posted by 세이라s9
,

1년에한번 볼륨검사를해줘야지, 안그러면 배드섹터 작렬한다네요

Posted by 세이라s9
,

이름(코드네임) 만 유출됏습니다..


Venus HD 8990 [XFX]

Venus HD 8970 [XT]

Venus HD 8950 [PRO]

Venus HD 8930 [LE]

... 



8870,8850,8830 은 모두 OLAND 로 돼어잇고, 

<AMD HD 87XX 번대>


아직 안나온것같고,,



그나저나이번에도 8X30번대나오네요--;; 이런 le들같으니라고..




Posted by 세이라s9
,




기본 윈8 테마에 마우스스킨까지공유합니다.


윈8에 새로운생명을 붙여드립니다^^



마우스스킨 인 폴더가 Cursors 이거든요 폴더자체를 복사


C:\Windows\에 붙여넣기해주세요^^ 그래야만 마우스스킨적용됍니다.


0609태마팩.zip



Posted by 세이라s9
,

파일히스토리 그것은대체무슨서비스로 작동돼는걸까.


'ㅅ' 아직도의문투성..


내가 첫 포스팅을하는것같던데보니까.

Posted by 세이라s9
,

...음..아니면버그일려나..[ㅅ]..



무슨서비스로돌아가는거지 아까그 이게아니엿나?..




..이게아니면어케돌리는거냐. 암만봐도 파일 히스토리 시스템을 뜻하는건데.


Posted by 세이라s9
,

뭐지..이게대체..



무슨서비스로작동돼는지알려줘야돼지않나?..


MS한국에다가 물어볼까..;ㅅ;?!

Posted by 세이라s9
,

다시 업로드해보지만 윈8 OS 기준입니다. 시동복구 사진은 윈7 and 예전의 비스타 에서쓰던 ;; 


시동복구라는 시스템은 은근히중요한것중 하나라는걸 알아차려버린게 윈 비스타 시절이였죠.


하지만 그때 당시 XP 라는 운영체제 에서 비스타로 바로 넘어온시절이여서 잘 몰랏던 상태였엇지라 어정정하게 하는바람에 포맷 자주해버렸습니다.. 근데 현재들어는 잘알고있서서 혹시나하는 바람에 재탕으로 다시 알려드립니다


시동복구란?


예전 윈XP 시절에는 없었던 복구솔루션 이엿습니다 윈XP시절 부팅파일이 안녕 Bye 하고 날아서 가버리면 포맷or 어떻게해서든복구 를 수동거쳐야 해서 귀차니즘이 많앗섯는데 이걸알앗는지.. 바꾸어진시스템이 바로 시동복구란 자동복원 솔루션이엿습니다. 


누루는것까지는 사용자의 몫이엿지만, 그이후 부터는 자동적으로 윈도우 OS가 문제요소를 찾아서 복구를 시도 합니다 재부팅으로하는 방식의복구라서 왠지모르게 신뢰성이컸섯죠 하지만 이것도 문제가크긴했스나, 윈7에 들어와 많은 수정을 겪엇는지 꽤나좋더군요 바로 시동복구라는것에 + 복원시스템을 달아버린것, 그결과 사용자가 포맷을 자주 해버리는 일을 무척 줄여준셈입니다.


하지만 이런 시스템을 잘알고있는 사람들은 별로없습니다. 그럼시동복구라는 신개념 복원솔루션이 뭔지 스샷으로~




이게바로 영문판OS 와 한글판OS의 시동복구 화면이자 사진입니다 윈7기준 의시작 메뉴 검색




이렇게나오기때문에 별문제는없지만 윈8에서는 시작메뉴자체가 없어지는 바람에 제어판으로 가야돼는데. 어쩔수없죠 그럼 윈8에서의 복원은어떻게돼는지한번볼까요?




...음..저는 복구솔루션을 삭제해버려서 열기를하더라도, 없는상태라 구성을해야돼는군요..


그럼 이만여기서 마치도록하겟습니다.^^






Posted by 세이라s9
,

.소재가 고갈되어서 없다고햇지만 프로그램을 보자마자 바로 소재로 변환하는 블로거


하드디스크 조각모음 프로그램의 외관 샷




 

dfsetup210.exe


이조각모음프로그램을 보셧는분은 살포시 눌러주세요. 이프로그램이 가장 조각모음 프로그램중에는 좋더군요 아직 윈8 에서의 내장 조각모음을안해봐서잘은모르겠습니다만;;


- 조각모음이란?-


자신의 기억을 최적 의 장소로옮겨놓음으롯서 최적의 시스템적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형태.


하드디스크의 저장은  아주그냥  무작위 저장이라  서로서로 조각이 나버려서 아주 엑세스가 더티합니다. 그래서 조각모음으로 그조각들을 모우고 주소를다시생성함으롯서, 월래있던장소는 새로운주소 집번지로 변환하여, 빈공간으로변환시키고 하면서 새로운공간과동시에 최적화를 동시하는것이죠.


같은 종류의 게임파일끼리 뭉쳐있게만들어 엑세스 영역을 최대한 넓지않게만들기때문에 빠른접근이 가능합니다 별개이유로는  조각모음을하지않으면 , 제아무리 삭제해도 아직그곳에서는 파일이 남아있다라는 착각을해버려서 조각모음으로 그공간 새로운장소로 인식하게만들어서 활용을 높이자라는 의식으로 시작된게 조각모음인데 요즘은 다른의미로보여집니다.


그리고또하나더 조각모음을자주안하면 OS 부팅속도과 느려지거나, 전체적으로 OS 컨디션 나빠져서 아주더티한상태가되버리죠.


- 덤 팁[tip]-



제어판- 시스템및 보안-관리도구쪽공간확보로 하면서 용량을 좀더줄여 활용공간을 늘리면되요. 윈xp는 기억안나네요. 일주일에서 혹은 3일마다해주시면 OS상태가 꽤나좋아집니다. 동시에 조각모음도해주면좋겟죠?  이렇게하면 시스템을 아주좋은상태로 유지할수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조각모음을하는이유는 바로 엑세스 ,읽기와 쓰기에관여하는 플래터와, 그걸 읽는 암이있는데.


이암이 마구마구돌아다니면서 읽고,쓰고하는데 아무래도 같은자리에 여러파일을읽는게좋지않을까요. 여러자리에 소수의파일만있스면 아마 읽는게힘들어 질겁니다.



 위에있는게 하드디스크 기록방식이고,


위에 사진에보여지는 플래터와 해드 [암] 입니다 저게 지나가면서 엑세스를하는데., 바깥부분에있슬수록 빠른접근이 가능하겠죠. 그러무로 조각모음은 바깥 부분에 대도록 옮겨서 빠른접근을 할수있도록 해주는 역할을하는셈이죠.


그리고 오래돼어 읽지도않는 파일은 말초부분 원둘레에서가장 안쪽부분에 기록해서 한번식 저 조각모음을 해주는것이 이롭습니다.

Posted by 세이라s9
,